보청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 근대이전

    인류는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조개껍질이나 뿔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수음하여
    증폭 효과를 얻는 형태의 보청기를 사용

  • 17세기 ~ 20세기 초

    17세기

    소리 수집형 보청기 나팔형 보청기, 의자형 보청기, 골전도 증가 보청기, 단순 외이도 삽입 보청기

    20세기 초

    카본 보청기, 탁상형 → 소형화, 큰 배터리, 카본 입자의 마찰 때문에 잡음이 심함

  • 1930 ~ 1980

    1930

    대형 → 소형 진공관 이용한 보청기로 보청기 출력 개선, 큰 배터리

    1940

    배터리 소형화

    1950

    트랜지스터 보청기, 진공관 사라짐

    1960

    보청기 소형화, 작은 크기 보청기로 큰소리 증폭 가능

    1970

    안경형 삽입형 보청기

  • 1980 ~

    1980

    외이도형 귀걸이형 보청기, 성능 개선, 보청기 본체와
    분리 안 된 귓속형 보청기 개발

    1990

    디지털 보청기 출현, 음질 향상, 많은 기능, 프로그램화된 보청기 개발

    2000

    컴퓨터 기술 발달로 보청기 소형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스스로 환경 인식하여 음질 향상 배경소음을 줄이는 보청기로 발전

    * 이식형보청기 체내 삽입형 보청기 형태이며 주로 고심도 난청 환자에게 권장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