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선천적요인 유전적요인
- 50%
- 상염색체 열성요인에 의해 비증후군성 난청이 발현되는 경우가 80%로 대부분을
차지함환경적요인
- 20 ~ 25%
원인불명
- 25 ~ 30%
-
후천적요인 소리 전달 과정의 문제로 인한 전도성 난청
공기를 통해 들어오는 소리 파동은 외이도염, 고막염, 중이염, 이소골의 이경화증, 이관기능저하 등에 영향을 받아 소리의 강도와 음조가 변형되어, 달팽이관 내 청신경에 음량이 감소하여 전달돼 나타나는 증상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청각역치가 높아지며 뇌에서의 말소리 구분 역도 떨어집니다.
신경세포 손상 및 전달경로 문제로 인한 감각신경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은 청각기관인 달팽이관 내의 청각정보 감지(손상된 유모 세포) 및 감지된 청각정보의 신경 전달 과정(청신경) 이상으로 생기는 증상으로, 청각역치가 높아져 말소리 구분이 어려워지며, 뇌 청지각 영역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같은 역치에서도 말소리 구분 역이 훨씬 떨어지는 상태를 보입니다. 이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특징으로 신경계 손상, 신경전달 경로의 문제, 뇌 혈액순환 저하 등으로 기인된 뇌기능 저하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도성 + 감각신경성 난청이 혼합된 난청
전도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이 혼합된 상태
메니에르병
메니에르병은 급성 현기증과 난청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급성기 이후 청력 변화가 있습니다.